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흉 증상, 원인, 치료방법 핵심정리

by 썬리버 2021. 10. 15.

유투버 아옳이가 건강주사를 맞고난 날 온몸에 피멍이 들어서 혈소판 감소증 의심으로 대학병원을 찾았다는 기사를 본적 있는데요. 의외로 혈소판 감소증이 아니라 기흉이었다는 진단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기흉은 폐에 구멍이 나서 공기가 폐밖으로 빠져나와 폐를 수축시키는 질환입니다.

기흉이란, 기흉원인은

기흉 즉 폐기흉은 엑스레이로 진단을 내리는데요. 쉽게말해 공기가 없어야 하는 폐 안쪽에 공기가 존재하는 상태인데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연 기흉은 10대 후반~ 30대 초반 절고 키가 큰 마른 체형 남성에게, 흡연력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폐 사진

남성이 여성보다 6배나 더 많이 앓고 있고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청소년기 빠른 성숙으로 인하여 폐조직 발달이 폐혈관 발달을 앞질러서 폐첨부 말단 부위 혈액 공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청소년기에 흡연율이 높아지는 것과 자연기흉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것이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흡연을 하면 폐기흉 발생 가능성이 20배 더 높아진다고 합니다.

기흉 증상

가장 대표적 증상이 가슴통증과 호흡곤란인데요. 흉통은 가장 흔한 기흉의 증상인데 운동과 관계없이 보통 24시간 이내에 사라진다고 합니다. 호흡곤란은 선행 폐 질환이 있거나 기흉 정도가 큰 경우 심하게 나타날 수 있어요. 유투버 아옳이의 경우도 숨쉴때마다 가슴이 아프고 트림이 계속 났다고 합니다.

기흉 치료

자연 기흉의 경우 흉강내 공기를 제거하고 흉강을 효과적으로 막아서 재발을 막는 것이라고 합니다. 증상이 없거나 약한 경우(방사선 소견상 20% 미만) 산소 흡입을 통하여 기흉의 자연 흡수를 도모하면서 관찰하거나 주사기를 통해서 공기를 빼주는 흉강천자로 치료를 합니다. 사진보면 통증이 심할 것 같지만 실제로 그렇게 심하지는 않다고 합니다.

흉관천자술




하지만 대부분 기흉 정도는 심하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흉관 삽입술을 시행합니다. 흉관삽입술은 흉관에 튜브를 삽입하여 공기를 빼내는 것입니다. 최근엔 내시경 기술(비디오 흉강수술)이 발달하여 기흉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재발이 잘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흡연을 하고 있다면 금연을 실시하고 호흡기 질환이 있다면 주기적으로 검진을 받으시는게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Open+Sans:400, 300, 600, 700); html { font-family: "Open Sans", sans-serif; } h1 { color: #444; } .rema { padding: 1em 2.1em 1.1em; border-radius: 3px; margin: 8px 8px 8px 8px; color: #fbdedb; background-color: #fbdedb;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e74c3c; -webkit-transition: 0.3s; -moz-transition: 0.3s; -o-transition: 0.3s; transition: 0.3s; font-family: sans-serif; font-weight: 800; font-size: .85em; text-transform: uppercase; text-align: center; text-decoration: none; -webkit-box-shadow: 0em -0.3rem 0em rgba(0, 0, 0, 0.1) inset; -moz-box-shadow: 0em -0.3rem 0em rgba(0, 0, 0, 0.1) inset; box-shadow: 0em -0.3rem 0em rgba(0, 0, 0, 0.1) inset; position: relative; } .rema:hover, .btn:focus { opacity: 0.8; } .rema:active { -webkit-transform: scale(0.80); -moz-transform: scale(0.80); -ms-transform: scale(0.80); -o-transform: scale(0.80); transform: scale(0.80); } .rema.block { display: block !important; } .rema.circular { border-radius: 50em !important; } /* Colours */ .red { background-color: #d55050; } .teal { background-color: #50d5a1; } .sky { background-color: #6698cb; } .black { background-color: #5c6166; } .gray { color: black; background-color: #d2d2d2; } .orange { background-color: #e96633; } .pink { background-color: #cb99c5; } .green { background-color: #5bbd72; } .blue { background-color: #7abedf; } .yellow { background-color: #ecc92b; } .purple { background-color: #564f8a;